Is It Too Late to Buy Unity Software Stock? - The Motley Fool
link

Independent Director Of Unity Bancorp Sold 49% Of Their Shares \ - Simply Wall St
link

Unity Bulldogs drop 10-5 home game to Somerset | Local Sports ... - latrobebulletinnews.com
link

Amity Foundation visits WCC to build collaboration that fosters unity - World Council of Churches
link

Unity Family Community Center Inc. receives grant to support ... - Citrus County Chronicle
link

‘Unity in diversity’ – why not here? - The Spectator Australia
link

 

 

 

Prayer Day: Tax talk outshines unity call - YouTube
link

Tok Mat expresses concern over trend of spreading statements that threaten unity - Malay Mail
link

The Unity Books children's book review roundup for June - The Spinoff
link

RAW: IA: PENCE TOWN HALL/NOT WORRIED ABOUT UNITY OF ... - The Times and Democrat
link

Solons call for unity, back Speaker Romualdez amid VP Duterte’s remark - INQUIRER.net
link

Pastor Felton T. Sessoms announced as Grand Marshall for 24th ... - Shore Daily News
link

'AI & 자동화 > API_Conten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sney_news_2023-06-17  (0) 2023.06.17
unity_news_2023-06-09  (0) 2023.06.09
disney_news_2023-06-08  (0) 2023.06.08
Today_News  (0) 2023.06.08
Today_News  (0) 2023.05.28

'AI & 자동화 > API_Conten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ty_news_2023-06-09  (0) 2023.06.09
unity_news_2023-06-08  (0) 2023.06.08
Today_News  (0) 2023.06.08
Today_News  (0) 2023.05.28
API Title  (0) 2023.05.23

'AI & 자동화 > API_Conten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ty_news_2023-06-09  (0) 2023.06.09
unity_news_2023-06-08  (0) 2023.06.08
disney_news_2023-06-08  (0) 2023.06.08
Today_News  (0) 2023.05.28
API Title  (0) 2023.05.23

Apple's Vision Pro (cnbc)

 

Apple 에서 새롭게 선보인 Vision Pro 가 얼마전 대중에게 공개 되었다. 

VR 기기는 이미 익숙한 디바이스 이지만
애플이 만들었다는 것에 대해 관심이 몰렸다. 

애플워치도, 에어팟도 가장 먼저 선보인 제품은 아니었지만
역시 애플이 만들면 다르다 라는 느낌을 대중에게 
선사하며 기업 이미지를 한껏 끌어 올렸다. 

 

 

 성능에 대한 부분 가격에 대한 부분은 워낙 소개하는 글이 많아서 다음에 정리하기로 하고

이번 발표에서 이슈가 되었던 것은




1. 디즈니와 협업하여 컨텐츠를 확보 하겠다.

2. 유니티와 협업하여 3D 앱을 제공하겠다. 


해당 기사가 나오고 유니티 주가는 17% 상승했다.

디즈니는.... 큰 여파가 없었다.

 디즈니, 디즈니+ 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보다 강력해서 일까
애플을 비롯하여 비전프로와 관련된 종목을 일제히 상승하였으나
디즈니는 큰 힘을 받지 못했다. 

6월 14일에는 디즈니-픽사의 엘리멘탈 애니메이션이 개봉을 앞두고 있다.
애플과의 협업 소식도 엔리멘탈도 디즈니의 주가 상승을
이끌 수는 없는 걸까?

 


Apple’s Vision Pro headset will launch with Disney+ streaming

"우리는 놀라운 창의력과 획기적인 기술을 결합하여 진정으로 놀라운 경험을 선사함으로써 팬들을 즐겁게 하고, 정보를 제공하고, 영감을 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끊임없이 모색하고 있습니다."라고 월요일에 열린 Apple의 WWDC 2023 기조연설에서 아이거는 말했습니다. "그리고 Apple Vision Pro는 우리의 비전을 실현할 수 있는 혁신적인 플랫폼이라고 믿습니다."

디즈니와 Apple의 협업 데모 릴에는 사용자가 집에서 스포츠 경기에 몰입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는 농구 코트의 3D 영상과 시청자를 바다 한가운데로 안내하는 몰입형 내셔널 지오그래픽 콘텐츠가 포함되었습니다.

"이 플랫폼을 통해 팬들이 좋아하는 캐릭터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매우 개인적인 경험을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Iger는 말합니다. "이 플랫폼을 통해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방식으로 팬들에게 디즈니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시즐 릴은 거실에서 살아 움직이는 미키 마우스, 주방에서 펼쳐지는 디즈니 테마파크의 불꽃놀이, 행성 표면에서 스타워즈 콘텐츠를 시청하는 팬들의 모습도 보여주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스토리텔링 회사와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술 회사가 다시 한 번 파트너십을 맺고 실제 마법을 선사하게 되어 매우 자랑스럽습니다."라고 아이거는 말했습니다.

배당금으로 생활 한다는 것은
아마 대부분의 사람이 한번쯤은 꿈? 꿔보는 삶일 듯 하다. 

매달 배당금이 나오고 
그 배당금으로 한 달을 살 수 있다면
경제적인 자유를 얻어
자유롭게 살 수 있지 않을까 ?

배당관련 종목도 많고
배당주만 투자는 사람도 많고
연배당 분기배당 월배당 등
주는 시기도 다양하다.  

직접 투자 해 보지 않더라도
투자 대비 수익률과 배당금은 
계산기를 두드려 보면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인의 성향에 맞게 
포트 폴리오를 구성하면 된다. 

"머리로는 알고 있지만.."
그래도 직접 경험을 해봐야 
정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한 달 동안 진행 해 봤다.
(주식도 부동산도 직접 해보지 않아도 대충 알 수 있지만 경험해 보면 다르지 않은가?)

여러 종목이 있었지만 월배당을 주는 JEPI 로 선정을 했다.
JEPI 는 예상 배당 수익률이 10%로 고배당 ETF 로 인기가 많은 종목이다. 
5월 한달 동안 350주를 모았다.
평단가는 54.49 달러 (한화 약 7만 2천원)


350 x 54.49 =  19,071 달러로 한화로 계산하면 24,857,507 원이다.  (환율 1,303 원 기준)
연 수익률이 10%라고 했으니 ..기대를 했다. 
12개월도 나누더라도 월  0.83% 수익이 나와야 한다.  (약 20만원 수준)

참고로 한 달 간 주가 변동은 거의 없었다. 



평단가 54.49 이고 현재 54.3 이므로 수익율은 -0.36% 
주가 변동에 의한 수익률은 없다고 봐도 무방 할 것 같다. 
(대부분 배당 ETF 는 변동폭이 크지 않다)

그렇다면 배당금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6월1일 배당락이었고,
6월 7일 배당금이 들어 왔다. 

세금을 제외 하고 108.71 달러 약 141,690 원이 입금 되었다. 

이번 6월 배당금은 0.36541 로 
최근 들어 가장 적은 금액이다. (이런..)

350 x 0.36541 ="127.89" 달러 (세후 108.71 달러)

물론 배당락인 6월 1일 하루만 들고 있어도 되기 때문에 
한 달간 묶어 두어야 할 필요는 없다.
또한 다른 투자처가 없다면 
확정적으로 수익을 보장할 수 있다.(거래 수수료는 별도다)

"장기적으로 매달 일정 금액 이상씩 
별도의 고민 없이 투자하는 경우에는
매력적인 상품으로 생각된다."

다만 지금의 나처럼
매달 수익률의 목표치를 두고 
매일 주식창을 잠깐이라도 
확인 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다소 아쉬운 투자 전략인 듯하다. 


결론

"2천 5백만원으로 매수 한 JEPI 350 주는
한 달동안 14만원의 수익을 안겨 주었다. "

대략 "5억원의 현금"이 있다면
매달 300만원 수준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단 5억을 만들어 보자)
세금은 나중에 고민해도 되겠다...

월요일에 열린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Apple(NASDAQ:AAPL)은 유니티 소프트웨어(NYSE:U)와 협력하여 새로운 
혼합 현실 헤드셋인 Vision Pro에 3D 앱을 제공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소식에 유니티의 주가는 17%나 급등했습니다.


Apple의 WWDC에 참석한 수잔 프레스콧 월드와이드 개발자 관계 담당 부사장은 "수년간 놀라운 3D 앱을 개발해 온 개발자 커뮤니티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오늘 유니티와 협력하여 이러한 앱을 비전 프로에 제공하게 되었다는 소식을 전하게 되어 기쁩니다. 인기 있는 Unity 기반 게임과 앱은 패스스루, 고해상도 렌더링, 네이티브 제스처와 같은 Vision OS 기능을 모두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Unity 앱은 Apple Vision Pro에서 기본적으로 실행되므로 다른 Vision OS 앱과 동시에 렌더링하여 나란히 설정할 수 있습니다."

파이퍼 샌들러 애널리스트는 이번 개발에 대해 비전 프로가 3D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개발자 플랫폼이 되고자 하는 장기적인 유니티의 비전과 전략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새로운 애플 비전 프로 공간 컴퓨터에 대한 공식적인 지원으로 U 주가는 장중 10% 이상 상승했습니다. 3,499달러의 정가를 고려할 때 2024년 비전 프로의 초기 물량은 다소 줄어들 수 있지만, 신제품 출시는 광고(매출의 60% 이상)를 넘어 U를 새로운 시각으로 재조명할 수 있는 긍정적인 촉매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라고 애널리스트들은 말합니다.

모건 스탠리 애널리스트들은 유니티의 수익은 애플의 증강 현실 헤드셋이 얼마나 성공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U는 특히 게임과 같은 새로운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다만, U의 엔진 가격 모델은 시트 기반 구독으로, 약 34만 명의 유료 구독자를 기준으로 '22년에 약 5억 달러(전체의 36%)의 수익을 창출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러한 구독자 기반은 모바일 게임 개발 산업의 보급률이 75%에 달하며, 이는 현재 VR/AR보다 훨씬 더 규모 있고 성숙한 산업이라고 생각합니다. 더 많은 스튜디오가 혼합 현실 콘텐츠에 노력을 기울이는 것을 볼 수 있지만, U의 가입자 기반의 점진적인 성장(따라서 U 성장 추정치의 상승 여력)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며, 궁극적으로는 다른 하드웨어 플랫폼과 더불어 Vision Pro의 성공 여부에 달려 있습니다."라고 애널리스트들은 말합니다

지난달에 매수한 유니티가 어제 크게 올랐다.

. 유니티 121주 (평단가 28.18) / (+10.04%)  - 6월 2일 기준 

오늘  아침에  확인해 보니 20% 정도 급등한 상황이라
정신없이 60주 정도 매도 하고 추이를 지켜 봤다. 

 

급하게 올라서 그런지 바로 -4% 정도 하락을 했고
당초 목표 수익률 15%를 초과한 상황이라  
40주 정도 추가로 매도를 했다. 

현재는 평단가 28.18로 (21주)만 보유하고 있다. 


노란색 매수/ 파란색 매도

 

수익률 자체로 보면 꽤 크지만
단가가 낮고 120주 정도만 보유 하고 있었고
매도는 100주. 그나마 분할도 매도 했기 때문에 
실제로 벌어들인 수익은 얼마 되지 않는다. 

이런 상승폭을 경험하는 경우가 흔치 않은데
얼마 들어가 있지 않은 상황이라
아쉬울 수 밖에 없다.

애초에 단기적으로 15%를 예상했었기 때문에
만족하며 정리했다.

다음에 기회가 또 오겠지....
와야 해!!

 


유니티의 이번 상승은 애플과의 협업 기사가 발표됨에 따른 효과로 풀이 된다. 

월요일에 열린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Apple(NASDAQ:AAPL)은 
유니티 소프트웨어(NYSE:U)와 협력하여 새로운 혼합 현실 헤드셋인 Vision Pro에 3D 앱을 제공한다고 발표했습니다. 
(https://www.investing.com/news/stock-market-news/unitys-deal-to-provide-3d-apps-for-apples-vision-pro-seen-by-wall-street-as-long-term-positive-432SI-3099165)


 

나의 목표는 매월 총액의 2% 수익률을 유지하는 것이다. 

 

 

5월 31일 총액이 56,124,194 원 이었고,
글을 쓰는 현재 6월 4일 잔액은  56,993,618 원으로
6월 수익률은 1.53%를 기록중이다. 

현재 보유주식 종목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5개 이하 보유 중인 종목은 제외)

1. JEPI 350주 (평단가 54.49)  / (  - 0.22%)

2. 월트 디즈니 121주 (평단가 90.24) / (+ 0.58%)

3. 유니티 121주 (평단가 28.18) / (+10.04%) 


JEPI 의 경우 월 배당을 주는 종목이다.
매달 2%의 수익 내는 것이 목표이므로 
매달 일정 금액의 현금이 배당으로 들어 온다면
목표를 유지하기 수월 할 것으로 판단하여 
매수를 진행한 종목이다. 

해당 금액으로 다른 종목에 
투자하여 수익을 노리는 것이 훨씬 유리하지만
좋은 종목을 선택하지 못하고 
고민하는 동안에 
잠시 안정적이고 확정 월 배당금을 
확보하기에 나쁘지 않다고 판단했다. 

그렇기에 확신을 갖게 되는 종목을
결정하게 되면
매도할 예정이다. 


디즈니단기 투자 종목으로 
고려하여 매수를 했다. 
장기적으로 큰 상승 여력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종목이지만
최근 주가는 상당히 저평가 되어 있다고 판단했고,
5월과 6월에 개봉예정작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면
일정 주가 이상으로는 
상승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현재 평단가가 90달러 수준이므로 
100달러 근처로 상승하면 전량 매도할 예정이다. 

많이 내려왔으니 100달러 근처까지는 상승하지 않을까?


유니티 는 5월달에 750주를 매매하여 6%정도 수익을 본 종목이다.
5월에 실적발표 결과가 나쁘지 않았고 
메타버스 종목으로 앞으로도 관심을 갖을 만한 종목이라 생각한다. 
750주 전량 매도 후에 4%정도 더 상승하였으나
갑자기 상승폭이 높아져서 인지 
그 뒤로 계속 가격이 하락하였다. 

750주 전량 매도 후에
가격이 급격하게 다시 하락하여
120주를 추가로 2일에 걸쳐 매수 하였으며
평단가 28.18이고 현재가격은 31 달러로
수익률은10.04 % 가 되었다. 

주황색-매수 / 파란색- 매도

다음주에 상황을 보고 10~15% 수익률 구간에
120주 전량 매도 예정이다. 

 

6월의 시작이니 좋은 종목을 찾고 
다양한 전략을 고민해 봐야 겠다. 

결론 : 장기적인 관점으로 봐도 디즈니는 매력적인 종목은 아니다. 

 

나스닥 지수에 투자하는게 낫다.

 

 

디즈니 주식을 매수할까, 보류할까?

디즈니는 단기적으로 역풍에 직면하고 있지만, 구독자 수익을 늘리고 이탈을 줄이며 충성도를 보상하기 위해 가격 모델을 최적화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분석가들은 DIS 주식에 대해 조심스럽게 낙관하고 있습니다. 이 주식은 13개의 매수 추천과 5개의 보류 추천을 받았으며 컨센서스 등급은 보통 매수입니다.  


동시에 애널리스트들의 12개월 평균 목표주가는 $123.31로 현재 수준에서 40.19%의 상승 잠재력을 의미합니다.


TipRanks 데이터에 따르면 DIS 주식에 대한 가장 정확한 분석가는 MoffettNathanson의 Michael Nathanson입니다. DIS 주식에 대한 그의 거래를 복사하고 각 포지션을 1 년 동안 보유하면 거래의 65 %가 수익을 창출하고 거래 당 평균 수익률이 18.38 %가 될 수 있습니다.

 

디즈니의 당면 과제

디즈니 주식은 투자자들에게 실망스러운 수익률을 보였지만, 단기적인 과제로 인해 회복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디즈니의 국내 ARPU(사용자당 평균 수익)가 가격 인상을 반영하여 전분기 대비 20% 증가했다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우려스러운 점은 국내 가입자 기반이 전분기 대비 감소했다는 점입니다. 


5월 25일 KeyBanc의 애널리스트 Brandon Nispel은 디즈니 주식의 목표 주가를 120달러에서 107달러로 낮췄습니다. 니스펠은 디즈니의 장기적인 전망에 대해 낙관적이며, 디즈니가 차별화된 IP(지적 재산권)와 자산을 통해 이익을 얻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또한 이 애널리스트는 DIS 주식에 대해 매수를 추천하고 가격 상승으로 인해 소비자 직접 판매 사업에서 회사의 수익성이 증가 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또한 디즈니의 55억 달러 비용 절감 계획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합니다. 


하지만 니스펠은 단기적으로 디즈니+ 가입자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또한 국내 파크 마진 압박과 ESPN/Hulu 오버행에 대한 압박은 계속해서 도전 과제가 될 것입니다.

월트 디즈니(NYSE:DIS) 주가는 지난 몇 년 동안 전체 시장 지수를 크게 밑돌았습니다. 또한 마진과 구독자 증가에 대한 지속적인 압력으로 인해 이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대기업의 주가 상승 잠재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디즈니 주가는 지난 1년 동안 약 20% 하락했다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편, 지난 3년 동안에는 25% 하락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10년 동안 주가는 약 50% 상승하여 연평균 4%에 가까운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이에 비해 S&P 500 지수(SPX)는 지난 한 해 동안 1% 상승했습니다. 한편, 3년 동안 약 37% 상승했습니다. 지난 10년 동안 SPX는 연평균 9.7%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약 153%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나스닥-100 지수(NDX)는 약 373% 급등하여 월트 디즈니 주식을 큰 폭으로 앞질렀습니다.

 

 

 

 

출처 : https://www.tipranks.com/news/article/will-disney-stock-nysedis-deliver-after-years-of-underperformance

23.05 매매 일지

 

나의 목표는 매월 총액의 2% 수익률을 유지하는 것이다. 

5월이 지났으므로 정리를 하면 
수익률은 2.38% 이다. 

5월 1일  : 54,788,254 5월  31일  : 56,124,194 차액 : 1,335,940

 

이번 달에 주로 매매한 종목은 유니티 이다. 

5월 6일 750주를 매수 했고 (단기간이지만 분할로 매수 했다)

5월 8일에 전량 매도 하여 약 6.5% 수익을 본 상태에서 매도를 진행했다. 
(그 다음날 4%가 더 올라서 아쉽긴 했지만..어쩔 수 없다.. 예측할 수 없으니..)

그 뒤에 디즈니를 매수 하였는데 
현재 -2.94% 진행 중이다. 

디즈니를 매수한 이유는
다양한 이슈들로 현재의 가치가 
상당히 저평가 되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들이 옮고 그르다를 떠나서
시간이 지나면 
다듬어 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목표를 "매달" 2%로 정한 이유는


1. 꾸준히 관심을 갖고 공부를 하기 위해서
우량주에 넣어 놓고 10년 후에 열어 보는게
수익률은 더 좋을 것 같긴 하지만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단기 목표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2.  총액의 2% 이므로 생각보다 적은 돈이 아니다. 
매달 2%씩 총액이 증가하고, 증가된 금액의 2%를 다시 수익 내야 하므로
복리로 계산하면 꽤 큰돈이 된다. 
3년 동안 꾸준히 매달 2% 수익률을 낼 수 있다면
5천만원은 1억이 되니 말이다. 

3. 다양한 투자 공부를 하게 된다.
한달 단위로 진행할 예정이므로 횡보하는 달이거나
하락하는 장에서도
수익을 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을 해야 한다.
위험한 기간에는 안전 자산으로 돌리거나,
숏을 치거나,
매월 배당금이 나오는 종목으로  매수 하는 등
다양한 전략을 고민하게 되므로  
주식에 대한 폭넓은 공부와 고민을 하게 된다.

5월까지는 잘 진행되었다.

이제 6월달 다시 시작이다. 

 

+ Recent posts